통증치료방법

– 물리치료 –

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는 물리적인 요법을 이용하여 통증을 경감시키고, 환자의 신체기능을 향상 시켜주는 치료법입니다. 약물 등의 화학적 요법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물리 치료는 전문의의 처방 하에 물리치료사 등 전문가가 시술하면 거의 부작용이 없는 방법입니다. 그렇지만 잘 못 쓰면 심각한 부작용을 수반 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는 물리요법과 운동치료로 나누어 집니다.

물리요법

온습포

온 습포 ( Hot Pack )

온 습포는 아마도 인류가 불을 발견한 이후로 통증 치료에 썼을 것입니다. 온습포를 하면 상처부위의 혈맥순환이 빨라집니다. 피돌기가 빨라지면 상처가 빨리 회복이되고, 통증을 유발하는 물질이 씻겨져서 통증이 경감됩니다. 온습포는 신경에 직접 작용도 하여 통증을 경감시킵니다. 당뇨병 등으로 피부의 감각이 둔해진 경우는 화상을 입을 수가 있고, 또 당뇨 환자에게서는 필요한 조직의 피가 피부로 가 버리기 때문에 조심하여야 합니다.

냉습포

냉습포 ( Cold Pack )

냉습포나 얼음 찜질은 온습포와 반대로 피돌기를 감소시킵니다. 다치거나 수술후에는 피가 나고 염증이 활발해 상처 주위가 붓게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냉습포나 얼음 찜질을 하게 됩니다. 심한 경우에는 Cryotherapy 라는 기구를 사용하여 지속적인 부기 (Swelling ) 제거를 하게 됩니다.

초음파

초음파 ( Ultrasound )

초음파는 열이 조직 깊은 곳까지 전달하게 만듭니다. 온 습포는 열이 피부에서 1-2 mm 이상 들어가지 못합니다. 열이 많아지는 대로 피가 그 부위의 온기를 가져갑니다. 그래서 온습포를 표면열 ( Superficial Heat ) 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관절이 굳어지는 경우 ( Joint Contracture )나 다른 이유로 열을 조직 깊숙이 전달해야 될 경우는 초음파를 쓰게 됩니다. 초음파를 심층열( Deep Heat ) 이라고도하고 맹렬열( Vigorous Heat ) 이라고도 합니다. 초음파를 잘 못 쓰면 조직이 익어버리거나 다른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물리치료사나 자격증 소지자만 써야합니다. 초음파를 쓰는 이유는 조직에 열이 가해지면 조직이 말랑해져서 잘 늘어나게 됩니다. 오십견이나 골절 등으로 관절이 굳어있으면(Contracture ) 초음파를 써야 조직이 찢어지지 않고 단기간에 원상으로 복구될 수 있으며 근육을 이완시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전기자극

전기자극은 기분 좋은 자극을 아픈 곳에서 발생시켜 기분 나쁜 아픈 자극과 경쟁을 시켜서 통증을 경감시키는 치료법입니다. 배가 아플때 어머니가 배를 쓸어주면 덜 아프게 느끼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신경자극이 척수나 뇌를 통과할때 검문소가 있다고 과학자들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검문소를 지날때 통증과 다른 기분 좋은 자극이 같이 들어가서 통증자극이 지나 가는 것을 지연시켜 통증을 경감시킵니다( Gate Control Theory ). 특별한 부작용은 없습니다.

추나 요법

추나요법은 기계를 사용하여 목과 허리를 잡아 당겨주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척추사이의 압력이 적어져서 일시적으로 디스크가 들어가게 됩니다. 또 목과 허리를 잡아당겨 근육을 늘어뜨려서( Stretching ) 통증을 경감시킵니다. 척추 관절염이 심하거나, 척추 협착증이 심하면 사지마비 ( Spinal Cord Injury ) 가 오는 수가 있고 또 경동맥 협착증이 ( Carotid Stenosis )가 있는 경우는 중풍이 오는 경우가 있으니 꼭 전문의의 처방하에 시술하여야 합니다. 거꾸로 매달려서 척추의 압력을 줄여주는 방법은 뇌혈압이 높아져 중풍이 올 수 있으니 조심하여야 합니다. DRX 등 추나요법이 모든 척추 통증의 해결법인양 광고하는 것은 옳지 않으니 환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마사지

마사지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김치갑 통증치료과에서는 심층마사지 ( Deep Massage ) 혹은 근섬유이완 ( Myofascial Pain Release ) 법이란 마사지 방법을 씁니다.

운동 요법

통증을 줄이고 환자의 신체 기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운동요법은 필수적입니다. 운동 요법은 크게 관절의 움직임을 높여주는 이완운동 ( Range of Motion ) 과 강화운동 ( strengthening)으로 나뉘어집니다. 이완 운동은 그 강도에 따라 PROM, AAROM, AROM, stretching 으로 나뉘어집니다.

ROM 운동

우리 몸의 관절은 적절히 움직이고, 근육과 인대는 자기 길이를 유지하여야 합니다. 질병, 골절, 손상, 운동 부족 등으로 몸을 움직이지 않게 되면 관절이 굳고, 움직일때 아프며, 쉽게 다치게 됩니다. 또 통증이 심하면 그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주위 근육이 긴장되어 둔해지게 됩니다. 그러면 관절과 근육이 점점 더 딱딱하고 굳게 됩니다. PROM( Passive Range of Motion, 수동 이완운동): 수술 직후나 다쳐서 뼈나 인대에 압력이 들어가면 안 될 경우, 치료사가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운동입니다.

ROM 운동

우리 몸의 관절은 적절히 움직이고, 근육과 인대는 자기 길이를 유지하여야 합니다. 질병, 골절, 손상, 운동 부족 등으로 몸을 움직이지 않게 되면 관절이 굳고, 움직일때 아프며, 쉽게 다치게 됩니다. 또 통증이 심하면 그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주위 근육이 긴장되어 둔해지게 됩니다. 그러면 관절과 근육이 점점 더 딱딱하고 굳게 됩니다. PROM( Passive Range of Motion, 수동 이완운동): 수술 직후나 다쳐서 뼈나 인대에 압력이 들어가면 안 될 경우, 치료사가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운동입니다.

PROM (Passive Range of Motion)

수술 직후나 다쳐서 뼈나 인대에 압력이 들어가면 안 될 경우, 치료사가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운동입니다.

AAROM (Active Assistive ROM)

어느 정도 회복이 되었을때 환자의 근육과 치료사가 같이 관절을 움직입니다.

AROM (Active ROM)

환자가 치료사의 지시하에 관절을 움직입니다.

Stretching

골절이나 손상에서 회복이 되고, 처음부터 손상이 없었을 때 강한 힘으로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늘려주는 운동입니다. 치료사가 도와주기도하고, 환자가 주로합니다.

강화운동

각종 손상이나, 통증, 운동부족 등으로 근육이 약해지면 통증이 심해지고 잘 움직일 수 없게 됩니다. 아파서 안 움직이면 근육이 더욱 약해지고, 통증이 더 심해지는 악순환이 ( Vicious Cycle)이 반복됩니다. 김치갑 통증치료과에서는 여러가지 기구와 기법을 이용하여 통증 완화와 건강한 몸을 위한 운동치료를 통해, 여러분의 질병이 깨끗이 낫도록 체계적으로 도와드립니다.

– 척추주사 –

신경근 차단술 ( Nerve Root Block) 이라고도 불리는 척추 주사는 1952 년 부터 허리 치료에 쓰여 왔습니다. 1980년대 후반부터 C-Arm 이라고 불리는 X-Ray 기계의 등장으로 이전보다 훨씬 안전하고 단시간내에 척추주사를 시술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척추주사는 물리치료와 병행하면 훨씬 효과적입니다. 척추주사로 통증을 가라 앉힌후 운동요법과 재활치료를 하면 결과가 좋습니다.
척추주사가 효과적인 이유: 척추주사는 강력한 소염제인 스테로이드를 신경근 바로 근처에 주입하는 요법입니다. 척추 디스크가 나와서 신경근이 눌리면 염증이 생겨서 신경근, 디스크 등이 부어오르게 되는데, 스테로이드가 들어가면 신경근및 주위조직의 염증이 가라앉아서 덜 아프게되고 또 덜 눌리게 됩니다. 또한 같이 주사하는 마취제의 효과로 통증이 사라지게 됩니다.
경구 스테로이드로도 소염진통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량으로 섭취된 스테로이드가 머리 끝부터 발 끝까지 가기 때문에 각 장기에 부작용이 옵니다. 척추주사는 좁은 척추강내에 약을 투여하기 때문에 전신 부작용이 훨씬 적습니다.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출혈: 척추강내 출혈로 신경손상이 오는 경우는 극히 드믑니다. 쿠마딘, 플라빅스, 프라닥사, 헤파린, 라브낙스 (Coumadine, Plavix, Pradaxa, Heparin, Lovenox ) 같은 항혈액응고제를 쓰고 있는 경우에는 척추주사를 맞으면 안 됩니다. 아스피린은 열흘 정도 끊는 것이 좋습니다. 아스피린을 끊을 때는 꼭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해야 합니다. 소염진통제도 3일 정도 끊는 것이 좋습니다.
경미한 부작용: 두통, 수면장애, 주사부위통증, 혈당상승, 얼굴홍조, 팔다리부음등이 일시적으로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척추주사 효과의 지속기간: 스테로이드와 마취제의 효과는 일시적이지만 한 번 가라 앉은 염증은 이전 상태처럼 악화되지 않습니다. 허리 통증의 이유는 다양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얼마나 오래 통증이 경감될지 단적으로 말하기는 불가능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단 한번의 주사로 통증이 경감되어 그 후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하게 됩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척추주사 효과가 한 달 정도 가다가 척추주사 맞기 전과 같아지기도 합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디스크로 인한 좌골 신경통은 통증 지속 기간과 정도가 일년 후에 80% 정도이고 척추협착증으로 인한 통증은 50% 정도입니다.
척추주사의 부작용: 경험있는 전문의에 의한 척추주사는 부작용이 아주 드뭅니다.
심각한 부작용: 1.척추경막 뚫림: 0.5 % 경우에 척추 경막이 뚫려 며칠 동안 두통이 지속됩니다. 앉거나 서면 머리가 아프고, 누으면 아프지 않습니다. C-Arm 이라는 X-Ray 기계를 쓰면 이러한 부작용이 많이 줍니다.
2.척추강내 감염: 적절히 소독을 하면 오는 경우가 극히 드믑니다. AIDS 나 기타 면역 작용이 현격히 떨어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0.01 %

척추관절주사

인간의 척추는 31 개의 뼈가 아래 위로 포개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포개어진 척추가 움직여져야 하기 때문에 척추와 척추사이에 관절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관절이 교통사고나 물리적인 손상을 입었을 때, 관절염 등의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척추관절 주사는 진단과 치료에 같이 쓰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척추신경손상으로 인한 통증 ( Radiculopathy )인지, 근육이나 인대 손상인지, 척추관절 손상인지 구별이 잘 안 될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척추 관절로 가는 신경( Medial Branch Nerve )를 차단시켜 통증이 사라지면 척추 관절 통증이라고 진단 할 수 있습니다. 척추관절신경을 차단시키면 그 자체로 척추관절로 인한 통증이 장기간 사라질 때도 많이 있습니다. 신경차단이 통증이 통증을 유발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게 되어 효과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경우에 따라 척추 관절에 직접 스테로이드 제재를 투여하기도 하는데, 이는 척추관절신경 차단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 관절주사 –

무릎이나 어깨에 통증이 심하면 스테로이드를 관절에 직접 주사합니다. 관절 주사는 강력한 소염제인 스테로이드를 관절 안에 주입하는 요법입니다. 염증이 심할 때 스테로이드가 연골 및 주위조직의 염증이 가라앉히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같이 넣는 마취제의 효과로 극심한 통증이 사라지게 됩니다. 물론 경구용 스테로이드로도 소염 진통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량으로 섭취된 스테로이드가 머리 끝부터 발 끝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장기에 부작용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절주사는 좁은 관절내에 약을 투여하기 때문에 전신 부작용이 훨씬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부작용은 주사부위 통증, 혈당 상승, 안면 홍조, 팔다리 부종 등 일시적이고 국소적인 증상들입니다.

연골주사

연골주사는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 치료에 쓰이는데, 연골 성분을 추출하여 관절에 넣는 방법으로 시술되고 있습니다. 신비스크, 히알간, 오르토비스크 ( Synvisc, Hyalgan, Orthovisc ) 등 여러가지 제재가 있으나 효과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러한 제재는 닭벼슬에서 추출하며, 박테리아 실험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한 번 치료 받으시면 6개월에서 일년 정도 무릎 통증이 호전되는 효과를 보시게 됩니다. 주사부위 통증 이외에 특별한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 침술 –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1997년 한의학의 침(鍼)에 대해 ‘수술 후 화학요법에 따른 구역, 구토, 수술 후 통증 등을 억제하는 데 효능이 있고 약물중독, 뇌졸중 재활, 두통, 월경 시 경련, 섬유근육통, 관절염, 요통, 천식, 불안·공포, 불면증의 대체 치료법으로 유용하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동양에서 침이 질병 치료에 이용된 시기는 기원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중국 고서(古書)인 ‘황제내경(黃帝內經)’에 12경락과 침에 대해 소개되어 있는 등 침은 2000년 이상 중국과 한국 등 동양에서 중요한 치료법으로 이용되어 왔습니다. 한방에서는 [기(氣)]의 흐름을 조절하여 인체의 문제[질병]를 해결하고자 하였는데 이 중에 특히 침술은 질병으로 인해 인체내에 야기되는 동시 다발적인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침술의 효능을 요약해 보자면,
1.[기(氣)]의 흐름을 조절하여 오장육부에 생긴 질병을 치료합니다. 2.신경을 조절하는 기능을 통해 통증을 완화합니다. 침은 [기(氣)]의 흐름(경락)을 따르기 때문에 A라는 지점에 침을 놓으면 그 자극은 중추 신경을 거쳐 뇌에 전달되고 뇌는 다시 이 자극을 B라는 지점으로 보내기도 합니다.
3.침술은 혈관을 수축 또는 확장하는 효과가 있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나아가 혈관 계통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한방재활의학은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손상으로 인한 마비질환, 근골격계에 발생하는 질환, 그리고 기타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질환에 한의학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한방치료법인 침술을 이용하여 국부적인 통증치료가 아닌 신체 전체의 기능을 향상시켜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환자가 질병 으로부터 벗어나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료 방법입니다.

Call Now
Directions
Skip to content